―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 진행
- 김승욱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 인터뷰
- 김승욱 “‘12.3 비상계엄’ 당시 오영훈 지사가 계엄 동조? 상상할 수 없는 일”비판
- 김승욱 “도청 통제는 불가피했을 것…그러나 고발은 부적절”
- 김승욱 “민주당 내부 갈등, 오영훈 지사 흔들기 아닌가 의구심”
- 김승욱 “정치 프레임 씌우기, 국민의힘 입장에선 안타까운 일”
- 김승욱 “결과론적 비판보다 행정 시스템 점검이 우선”
- 김승욱 “계엄 시 조치도 행안부 프로토콜 따른 것… 해명 과정 미흡”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제주 대표적 인터넷신문 ‘일간제주’와 영상 시사전문채널 ‘일간제주 TV’가 이번에 야심찬 프로젝트로 제주지역 지역 산적한 현안과 정치적 이슈, 그리고 국내 정치 현안을 두루 다루는 토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번 야심차게 준비한 ‘일간제주’프로젝트 시사 프로그램인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 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은 지난 2024년 7월 18일 국민의힘 제주도당 수장을 맡게 됐으며, 그리고 올해 제주시을당협위원장을 다시 맡게 된 김승욱 위원장과 진행하게 된다.

이날 방송은 일간제주 양지훈 편집국장이 진행하고 현장에서 직접 취재한 내용에 대해 김승욱 위원장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일간제주와 일간제주TV가 협력하여 기획·제작된 시사토크프로그램인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은 유튜브를 비롯해 다음과 구글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 동시에 올라간다.

한편, 이번 시사프로그램 패널인 김승욱 도당위원장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 건축학과 대학원 졸업한 인재로 ▶ (전)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 ▶ (전)20대 대통령선거 제주공동선대위원장, ▶ (전)22대 총선 제주시을 국민의힘 후보, ▶ (현)사단법인 제주문화역사나들이 이사장, ▶ (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 그리고 현재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다.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최근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12.3 비상계엄’ 당시 자신의 행적에 대해 소상하게 밝힐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진보측 대표 법조인인 고부건 변호사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한 사건이 제주를 넘어 전국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심지어 여의도 정가에서도 연이어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이에 대해 김승욱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은 “이번 사안은 민주당 내부의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며 “오영훈 지사를 흔들기 위한 의도가 엿보인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10월 2일 진행된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 제6화 4부 방송에서 “오영훈 지사가 설마 계엄에 동조했겠느냐.”라며 “그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당시 도청을 ‘폐쇄’했다기보다 일시적인 통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사가 서울 출장을 마치고 제주로 복귀한 뒤 자택에서 3시간 정도 보고를 받고 조치했다는 부분도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김승욱 “고발은 부적절…그러나 흔들기 프레임도 문제”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김 위원장은 도청이 고 변호사를 상대로 고발한 것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이 개인 비판을 이유로 고발까지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치적 논란을 키운 셈”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나 동시에 “고 변호사가 ‘계엄 동조 의혹’이라는 표현으로 문제를 확대한 것도 적절치 않다”며 “민주당 내부의 세력 갈등 속에서 오영훈 지사를 겨냥한 정치적 프레임이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며 냉혹한 정치적 현실에 대해 씁쓸함을 표했다.

그는 “결국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내에서 ‘오영훈 흔들기’가 본격화된 것 아니냐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며 “국민의힘 입장에서도 안타깝게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 김승욱 “결과론적 비판보다 시스템 점검 필요”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4부 방송ⓒ일간제주

비상계엄 당시 도청 통제 조치에 대한 논란에 대해 김 위원장은 “그 당시의 상황은 급박했다.”라며 “지사가 서울에 있었다면 왜 안 왔냐고 비판했을 것”이라며 “지금의 평가는 다분히 결과론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당시 제주도의 대응은 행정안전부의 매뉴얼과 프로토콜에 따른 것”이라며 “이를 두고 계엄 동조나 불성실 대응으로 몰아가는 것은 행정 시스템 자체를 흔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방송 말미에 김 위원장은 “정치권은 서로의 실수를 공격하기보다 재난과 위기 상황에서 행정 체계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를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그러나 오영훈 도정은 도민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한 해명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