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도권은 (주)동방(김형곤)이 60%의 지분을 가진 대표업체가 되었고, 제주지역업체로서는 (주)제주냉동물류(유철수), (유)우정물류(이경은), 한국특장운수(김성엽)의 3개 사가 40%의 지분을 가진다.
영남권은 (주)한진(석태수)이 51%의 지분을 가진 대표업체가 되었고, 제주지역업체는 (주)제주통운(김형진), (주)동아물류(고택사)의 2개 사가 49%의 지분을 가진다.
호남권은 (주)현대로지엠(노형돈)이 55%의 지분을 가진 대표업체가 되었고, 제주지역업체로서는 (주)삼진해운(김상완), (주)그린해운(장진근), (주)중앙운수(강학수)의 3개 사가 45%의 지분을 가진다.
그전까지는 도내 지역업체 참여율은 15% 수준으로 저조하고, 종속적인 하청업체 성격의 관계로 인하여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등 도민들로부터 많은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이번 새로운 물류사업자를 선정하는 시점에서 우선 지역업체 참여율을 제도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무 공동도급 방안을 적용하여 제주지역 업체가 40%이상 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정결과 제주지역업체는 40%~49%의 지분을 가지게 되었다.
올해까지 유통을 맡아왔던 대한통운은 심사에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고, 선정된 업체는 계약절차와 사업준비과정을 거쳐 내년부터 물류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