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탈석탄동맹 (PPCA) 가입을 환영하며 ,
선언을 넘어 1.5 도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을 적극 뒷받침 하겠습니다 .
정부의 탈석탄동맹 (Powering Past Coal Alliance, PPCA) 가입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대한민국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국제사회에 표명한 것으로 , 늦었지만 매우 의미 있는 결정입니다 .
PPCA 에는 영국 · 미국 · 멕시코 등 62 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 그간 대한민국은 OECD 38 개국 중 탈석탄동맹에 가입하지 않은 4 개국 중 하나 였습니다 . 이번 가입을 계기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
글로벌 싱크탱크 Ember 에 따르면 이미 OECD 38 개국 중 14 개국은 석탄 없는 전력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특히 , 산업혁명의 중심지인 영국이 지난해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함으로서 세계는 탈석탄 문명으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그러나 가입 선언보다 중요한 것은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행이 중요합니다 .
탈석탄동맹 가입은 ' 선언 ' 이 아닌 ' 이행 ' 을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합니다 . 1.5 도 목표 달성과 글로벌 기후 리더십 확보 , 그리고 탄소중립 시대의 산업 경쟁력을 지키기 위한 실천 계획이 시급합니다 .
또한 ,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전환 비용과 일자리 감소 등 사회 ·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 관련 산업 노동자와 지역공동체를 위한 ' 정의로운 전환 ' 의 대책을 더욱 촘촘하게 마련해야합니다 .
국회 기후위기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정부가 이번 탈석탄동맹 가입을 계기로 구체적인 탈석탄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 산업계와 노동계의 목소리가 균형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 정부의 결단을 환영하며 책임 있는 행동과 내실있는 이행을 위해 국회도 적극 뒷받침 하겠습니다 .
2025 년 11 월 18 일
국회 기후위기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의원 위성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