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인플루엔자 검출률 증가세
- 0-6세 영유아 연령층이 50% 이상 차지…A형 H3N2 우세
- 도내 하수 기반 감시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농도 3주 연속 증가

▲ ⓒ일간제주
▲ ⓒ일간제주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국가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사업(K-RISS)을 통해 인플루엔자 검출률을 모니터링한 결과, 42주차(10.12~18) 13.6%에서 46주차(11.9~15)에는 46.2%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제주지역 주차별 인플루엔자 검출률은 42주 13.6% → 43주 20% → 44주 13% → 45주 37.5% → 46주 46.2%로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전국 평균(44주 19%, 45주 35.1%)과 유사한 수준이다.

최근 기온이 떨어지면서 독감 환자가 늘자 질병관리청은 예년보다 이른 10월 17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유형별 검출 결과, A형 H3N2(91.2%)가 압도적이었고, A형 H1N1(8.8%)이 일부 나타났다.

B형(0%)은 검출되지 않았다. 연령별 검출률*은 0~6세 영유아층이 가장 높았다.

* 0~6세 52.9%, 7~12세 17.6%, 13~18세 5.9%, 19~49세 11.8%, 50~64세 2.9%, 65세 이상 8.8%

지난 절기에는 인플루엔자 A형 H1N1이 먼저 유행했지만, 올해는 A형 H3N2가 우세한 양상이다.

현재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백신주와 유사하며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감염병 유행 징후를 포착하는 생활하수 기반 감시에서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농도가 44주부터 3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

작년보다 한 달 앞서 바이러스 농도 증가가 시작된 것으로, 지역 내 유행 위험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김언주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국가호흡기바이러스 감시(K-RISS)와 생활하수 기반 감시를 통해 도내 호흡기감염병 발생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감염병 조기경보 체계 강화를 위해 신속·정확한 검사와 분석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