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 2025년 10월 23일 /PRNewswire/ --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이하 FCC)는 대만증권거래소(Taiwan Stock Exchange) 및 타이베이거래소(Taipei Exchange)와 협력해 아시아혁신자본(Asia Innovation Capital) 이니셔티브를 출범시켰다. 이 이니셔티브는 FCC 주도로 자본시장을 강화해 대만을 혁신•인공지능(AI) 분야의 아시아 허브로 구축하려는 전략적 프로그램이다.

펑진룽 ( Peng Jin-lung) FCC 위원장은 "이 이니셔티브는 대만의 장기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자본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 플랫폼이 기업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유연한 자금 조달 옵션을 제공하며, 대만이 아시아 최고의 자산 관리 허브가 되려는 목표 달성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표방하는 '혁신경제, 스마트 대만(Innovative Economy, Smart Taiwan)' 비전에 부합하는 이 이니셔티브는 아시아자산운용센터(Asian Asset Management Center)의 '자본시장 성장 계획(Capital Market Growth Plan)'을 기반으로 한다. 상장과 거래 규정을 간소화하고, 전담 서비스팀을 설치하며, 자원을 통합해 규모와 상관없이 모든 핵심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주식과 채권의 이중 금융 조달 채널을 통해 유연하고 혁신 중심의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혁신자본 이니셔티브는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 13가지 표적화 조치를 도입한다.

주식 시장 개혁 측면에서는 대만 혁신기업 전용 상장판(Taiwan Innovation Board)의 유동성 확대를 위해 데이 트레이딩을 도입한다. 또한 외국 기업의 상장 요건을 간소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예를 들어, 이사의 과반수의 대만 거주 의무 규정을 폐지하고, 증권법을 잘 준수할 수 있도록 대표 증권 발행 주관사(lead securities underwriter) 지정 기간을 단축하며, 기업공개(IPO) 이후 공인회계사의 내부통제 감사 보고서 제출 요건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또 이사회 전환 유연성을 높이고, 마진 거래 규정을 완화하는 등 시장 효율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추가 조치도 마련된다.

채권 시장 개혁에는 해외에서 발행된 외화 표시 채권의 대만 내 이중상장을 허용해 국내 채권 시장의 규모와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또한 대만에서 채권 발행을 원하는 외국 기업의 자격 요건을 완화하여 더 다양한 자금 조달 채널을 창출하고 시장 포용성을 증진할 계획이다.

펑 위원장은 "이번 조치는 기업이 주식과 채권 채널을 통해 유연한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지원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과 변혁을 계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FCC는 규제 개선과 시장 인센티브를 통해 혁신 주도 성장을 지원하는 역동적이고 포용적인 자본 시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 변화를 가속화하고, 혁신을 촉진하며, 고품질 투자 기회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함으로써 대만의 시장 규모, 글로벌 가시성 및 투자자 매력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Cision View original content:https://www.prnewswire.com/kr/news-releases/uB300uB9CCu002Cu002DuC544uC2DCuC544uD601uC2E0uC790uBCF8u002DuC774uB2C8uC154uD2F0uBE0Cu002DuCD9CuBC94u2026uC778uACF5uC9C0uB2A5u002DuD5C8uBE0C-302592150.html

SOURCE TWSE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