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림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갑 ) 은 20 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산림청 국정감사에서 수목장을 원하는 국민이 많아짐에도 , 공공수목장림의 공급 부족으로 실제 이용률은 7% 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실을 지적했다 .
산림청이 2018 년 당시 , 5 개의 공공수목장림을 2022 년 안에 50 개까지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 그러나 문대림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25 년 현재에도 공공수목장림은 8 개에 불과하다 .
문 의원은 수목장림 공급 부족의 문제로 인해 수목장림 및 장례용 나무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며 , 국민 수요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국민적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공공수목장림 사업은 오히려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또한 , 산림청이 최근 새로 밝힌 목표가 2027 년까지 신규 국립수목장림 2 개 조성인 것에 대해서도 “ 목표가 당초 50 개에서 이제와 2 개로 줄어든 것은 2018 년 목표 자체가 충분한 조사와 준비 없이 발표된 것이라는 증거 ” 라며 , “ 웰빙만큼 웰다잉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지는 만큼 , 이번에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수목장 인식과 실제 이용률 사이 괴리를 키우는 또 다른 문제는 정보 접근성 부족이다 . 문 의원은 “126 개 수목장림이 있지만 , 한국수목장문화진흥재단 홈페이지에 등록된 곳은 37 개뿐이고 , 실제 홈페이지 연결이 되는 곳은 12 곳에 불과하다 ” 며 “ 결국 10% 정도만 제대로 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 ” 이라고 짚었다 .
또한 산림복지진흥원이 2018 년부터 올해까지 진행한 수목장 홍보 · 인식 개선 행사가 15 건에 그친 부분도 지적하며 , 문 의원은 “ 사망 후 장례 준비에는 시간이 촉박한데 , 정보조차 찾기 어려우니 수목장을 선택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 ” 이라며 , “ 생애 마지막 순간의 복지를 소홀히 하고 있다 ” 고 꼬집었다 .
문 의원은 “ 국민의 높은 수목장 선호에도 불구하고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고 , 정보는 제때 제공되지 않는다 ” 며 , “ 공공수목장림을 확대와 더불어 전국 수목장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 적극적인 홍보 활동에 나서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본지 기자가 아닌 객원 및 시사 칼럼니스트 등의 방송과 칼럼, 그리고 기고 등에서 제기하는 일부 발언들은
본지 편집 및 보도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