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 중 하나가, 순환보직으로 인한 전문성 부재이다. 이러한 문제를 타파하고자 만들어진 제도가 ‘전문직공무원’이다. 각 부처의 업무 중 고도의 전문성과 장기재직이 필요한 업무분야를 소속 장관과 인사혁신처가 협의하여 전문분야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인사혁신처가 국회 오영훈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도에 6개 기관이 7개의 전문분야를 지정하여 운영을 시작한 이래, 2020년도 8월 현재, 10개 기관에 12개 전문분야로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중앙행정기관 45개 중 전문직공무원 제도를 운영하는 곳은 22.2%에 해당하는 10개 기관만이 운영중에 있어, 미시행 기관들의 시행의지가 의심받고 있다.

전문직 인원도 2017년도 3,4급에 해당하는 수석전문관 23명, 5급에 해당하는 전문관이 72명으로 총 95명으로 출발하여, 2020년 8월 현재 수석전문관 68명, 전문관 157명, 총원 225명으로, 총원기준 2.4배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원수도 국가직 공무원 3,4,5급 총원인 22,732명 중에 0.99%에 해당하는 인원으로 공무원의 전문화라는 실효성을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적은 수로, 국가공무원의 전문화라는 목표을 달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이다.

전문직공무원 운영현황을 부처별로 살펴보면 방사청이 방위사업관리 분야에 71명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행안부가 재난관리 분야에 16명, 법의분야에 28명으로 총 44명을 운영 중에 있다. 산업부는 국제통상분야에 27명으로 3위, 환경보건·대기환경분야에 22명을 운영하고 있는 환경부가 4위, 기상예보분야 14명의 전문직을 운영하고 있는 기상청이 5위를 각각 기록하였다.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은 “공무원은 순환보직으로 인해 보직이동이 잦아서 전문성을 갖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제도가 전문직 공무원제도이나, 중앙행정기관들의 적극적 의지가 잘 보이지 않는다. 민간영역은 전문화, 고도화되어가는 반면에 이를 뒷받침하여야 할 정부부처가 전문성을 갖지 못한다면, 민간의 현장수요를 적절하게 국가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하면서, “미시행 부처들의 적극적 의지를 기대하며, 기 시행부처에서도 전문분야와 인원확대를 통해 국민들로부터 신뢰받는 정부조직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하였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