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후 위기 시대의 제주,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지난 2024 제주의 사회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도민의 과반수가 현재 가장 대응이 시급한 환경 문제로 '기후변화 재난대응'을 꼽았다. 통계에 따르면 도민들은 우선 대응이 필요한 분야로 기후변화(50.5%)를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대기오염(41.6%)과 해양오염(37.9%)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제주가 직면한 환경 위기가 더 이상 추상적 우려가 아닌, 현실적 위험으로 체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려는 단순한 기우가 아니다. 실제로 제주는 최근 들어 육지와 비교하여 가뭄이 장기화되고 해수면이 상승하는 등 과거와 다른 양상의 기후 재난을 겪고 있다. 강수량 변화로 지하수 함양량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물 공급에 대한 도민들의 불안 또한 커지고 있다. 기후 위기가 일상과 직결된 생활 문제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도민들의 높은 위기감에 비해, 정작 환경 관리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자연환경관리 정책 인지도에 대한 통계를 보면, 제주도 인구의 절반가량이 환경관리정책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연안해역 및 해안가 관리정책'의 경우, 15~19세 청소년은 '모른다'는 응답이 82.5%에 달했다. 심지어 '모른다'는 응답률이 가장 낮은 50~59세조차 그 비율이 절반에 가까운 49.3%로 나타나, 사실상 제주의 환경 정책이 도민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처럼 도민들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는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간극이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 격차는 정책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도민 참여를 기반으로 해야 할 기후 대응이 행정 중심의 일방적 구조에 머물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주민들이 알지 못하면 실천으로 이어질 수 없고, 궁극적으로는 위기 대응 역량 자체를 약화시킨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정책과 도민을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소통 구조다. 도민들이 느끼는 위기감을 정책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참여로 이어주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제공과 체계적인 소통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기후 위기는 행정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도민과 행정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를 세워 함께 실천할 때 지속 가능한 대응 체계가 구축된다. 이러한 노력이 쌓일 때, 제주는 기후 위기에 흔들리지 않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