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수산업은 국가 과제 , 문대림 의원 “ 수협 , 현장 중심 혁신 주도해야 ”
- 정부 , 스마트수산업 추진단에 수협도 참여함에도 역할 미비 - 방대한 데이터 · 양식업 협력 기반 통합 플랫폼 필요성 제기 -“ 지속가능한 어촌 · 수산업 미래 위한 체제 전환 시급 ”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 ( 제주시갑 ) 이 27 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수협중앙회를 상대로 현장 중심의 스마트수산업 발전에 소극적인 태도를 지적하고 , 현장 데이터 허브로서의 역할 강화를 주문했다 .
문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AI 대전환의 기조에 따라 해양수산 분야 2026 년 AX 예산이 올해보다 4 배 늘어났음에도 , 수협이 금융 서비스 고도화에만 AI 를 적용하고 있어 , 정작 조합원 경영지원이나 현장 중심의 스마트수산업 발전에는 추진 의지가 부족함을 지적했다 .
기획재정부가 ‘ 초혁신 경제 15 대 선도프로젝트 ’ 의 하나로 스마트수산업 혁신 선도지구를 지정했고 , 수협도 추진단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수부나 어촌어항공단과 협의조차 하지 않았다는 점을 일침하며 , 수협이 단순한 금융 분야 혁신을 넘어 , 어민 소득 창출과 산업 구조 전환에 기여할 수 있도록 TF 강화와 적극적인 체제 전환을 요구했다 .
문 의원은 스마트양식업을 추진하는 한국어촌어항공단에도 해양수산 분야 정부 부처와 적극적으로 협의해야 한다며 향후 총괄 SPC( 특수목적법인 ) 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지 구체적 계획을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
이어 문 의원은 수협이 전국 91 개 회원조합과 215 개 위판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를 단순 통계자료로만 관리하는 실정을 지적했다 . 그는 수협이 데이터센터와 AI 기반 플랫폼을 마련해 현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 분석하고 , 이를 정부 · 지자체 · 연구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통합 허브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문대림 의원은 “ 스마트수산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어촌과 수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가는 국가적 과제 ” 라며 , “ 기존 금융 중심의 한정된 혁신을 넘어 어민 소득 증대와 산업 구조 전환을 뒷받침하는 주체로 거듭나길 바란다 ”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