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욱 “오영훈 지사, 행정체제 개편은 도민 외면한 ‘짝사랑 정치’”직격탄 날려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 진행 — 김승욱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 “제주형행정체제개편 논란, 도민 소통 부재·정책 판단 리스크 심각” — 김승욱 “행정력·예산 낭비, 도민 갈등만 키워…결국 실패 시 도민 질타 불가피” — 김승욱 “현안 산적한데 아직도 미련…도정 내부 의사소통 구조 근본적 문제 있다”

2025-10-25     양지훈 기자 일간제주TV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일간제주

 

제주 대표적 인터넷신문 ‘일간제주’와 영상 시사전문채널 ‘일간제주 TV’가 이번에 야심찬 프로젝트로 제주지역 지역 산적한 현안과 정치적 이슈, 그리고 국내 정치 현안을 두루 다루는 토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번 야심차게 준비한 ‘일간제주’프로젝트 시사 프로그램인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 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은 지난 2024년 7월 18일 국민의힘 제주도당 수장을 맡게 됐으며, 그리고 올해 제주시을당협위원장을 다시 맡게 된 김승욱 위원장과 진행하게 된다.

이날 방송은 일간제주 양지훈 편집국장이 진행하고 현장에서 직접 취재한 내용에 대해 김승욱 위원장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일간제주와 일간제주TV가 협력하여 기획·제작된 시사토크프로그램인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은 유튜브를 비롯해 다음과 구글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 동시에 올라간다.

한편, 이번 시사프로그램 패널인 김승욱 도당위원장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 건축학과 대학원 졸업한 인재로 ▶ (전)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 ▶ (전)20대 대통령선거 제주공동선대위원장, ▶ (전)22대 총선 제주시을 국민의힘 후보, ▶ (현)사단법인 제주문화역사나들이 이사장, ▶ (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 그리고 현재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다.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일간제주

제주특별자치도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어 파장이 일고 있다.

얼마전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김민석 국무총리와의 면담 자리에서 관련 언급을 했다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사실상 ‘종결된 이슈’로 보였던 행정체제 개편이 재 점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김승욱 국민의힘 제주시을 당협위원장은 “오영훈 지사의 행정체제 개편 추진은 상대방이 거들떠보지 않는데 혼자 구애하는 짝사랑 정치에 불과하다”며 저격했다.

이어 그는 “이미 임기 3년이 훌쩍 지난 상황에서 여전히 이 문제를 붙들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깝다”고 일침을 가했다.

# 김승욱 “중앙정부·도의회 모두 냉담…도민 의사도 명확히 반대 기류”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일간제주

지난 10월 2일 진행된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 제6화 2부 방송에서 김승욱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를 거쳐 이재명 정부가 출범했지만, 중앙 부처에서조차 주민투표 이후 단 한 차례의 구체적 논의도 없었다”며 “도의회 조사에서도 ‘현행 2개 행정시 존치’ 의견이 40%를 넘었다.”며 “이는 사실상 도민 여론이 이미 반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정이 여전히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내년 예산안에 198억 원을 올렸다가 삭감돼 150억 원가량이 반영된 것으로 안다”며 “이제는 도민과의 소통 부재, 정책 판단 리스크의 문제로 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 김승욱 “예산·행정력 낭비 심각…정책 실패 시 도민 질타 감당 못 할 것”

▲ 일간제주 + 일간제주TV’ 시사토크프로그램 “김승욱의 제주정치 通(통)”...2025년 10월 2일 제6화 2부 방송ⓒ일간제주

김 위원장은 “그간 행정체제 개편 논의에 투입된 행정력과 예산 낭비가 상당하다”며 “결국 무산될 가능성이 높은 사안을 고집하다가 실패했을 때, 도민의 질타를 어떻게 감당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논의로 인해 다른 주요 현안이 사실상 멈춰 섰다”며 “일몰제 연장 등 교육위원회 제도 개편도 제때 처리되지 못했고, 행안부에서는 아예 교육위원 자체를 없애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오 지사 주변 정책 피드백 구조 문제”라며 오영훈 도정 소통 시스템의 의사소통 왜곡이 상당히 심각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행정체제 개편은 제주도의 근본적 구조를 뒤흔드는 사안인 만큼, 단순히 ‘해보자’는 식으로 추진할 일이 아니”라며 “행정체제개편추진단조차 교부세 문제나 재정특례 등 핵심 쟁점에 대해 구체적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오영훈 지사 개인의 의지보다 중요한 건 현실적인 대안과 도민 설득 과정인데, 지금은 일방적인 의사 전달 구조에 갇혀 있다”며 “정책 피드백과 내부 고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날 방송 말미에 김 위원장은 “이제는 도민 갈등을 유발하는 논쟁보다, 제주 사회의 실제 현안을 해결하는 데 행정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