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제주–칭다오, 57년 만의 정기선 개항”자화자찬...물류비 절감 효과 ‘아직은 미지수’
- 실제 첫 항차 물량 40TEU 불과…‘62% 절감’은 예상치 수준 - 전문가 “상징성은 크지만 실질적 효과 입증까지는 갈 길 멀다”진단
제주특별자치도가 “57년 만의 국제 정기 컨테이너선 취항”이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 제주–칭다오’ 정기항로 개통이 실질적 성과보다는 ‘정치적 이벤트’ 성격이 짙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18일 오후 2시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첫 입항식을 열고, 제주항이 1968년 무역항으로 지정된 이후 57년 만에 국제 정기 컨테이너선이 들어왔다고 밝혔다.
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물류비를 62% 이상 절감 예상되고, 운송시간을 최소 2일 단축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언론은 물론 경제계 일각에서는 제주도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치는 실제 절감 효과가 아닌 ‘예상치’에 불과한 것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 물류비 62% 절감?...“예상치일 뿐, 실제 효과는 미지수”
제주도는 기존 부산항 경유 대비 컨테이너 1TEU당 물류비를 204만 원에서 77만 원으로 줄여 62% 이상 절감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특정 화물 조건을 기준으로 한 산출값으로, 현재 제주 기업들이 실제로 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경제계 중론이다.
이와 관련 해상물류 관련자는 “항로가 개통됐다고 해서 도내 기업 전체의 물류비가 일괄적으로 절감되는 것은 아니”라며 “통관, 내륙운송, 냉장보관비 등 전체 비용 구조를 고려하면 체감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 “첫 항차 40TEU 수준…정기선이라기보다 시범운항에 가깝다”
제주도의 보도자료에서는 ‘정기항로 개통’을 강조했지만, 첫 항차 물량은 40TEU 안팎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항로 전문가들은 실제 항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간 1만 TEU 이상의 물동량이 확보돼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어, 제주도가 제안한 수준은 손익분기점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항만업계에서는 “실제 수출입 수요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기선 운항은 채산성 확보가 어렵다”며 “배는 뜨지만 선박에 실을 화물이 부족하면 노선 유지가 힘들어진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 지속 가능성 ‘불안’…보조금 의존형 구조, ‘도민혈세 낭비’ 도민사회 내 우려 제기
현재 ‘제주–칭다오’ 노선은 민간 해운사가 제주도의 지원을 받아 운항하는 구조다.
즉, 일정 기간 도비 보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자립적 물동량 확보가 되지 않으면 중장기적으로 노선이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이와 관련 제주도의회 내 의원들은 “해상 직항로 개설의 취지는 좋지만, 단순히 항로만 개통해서는 지속 불가능하다”라며 “냉장창고, 하역장비, 통관센터 등 물류 생태계 전반을 함께 정비해야 한다”며 “작금의 제주도의 방침은 소중한 도민혈세가 무분별하게 낭비 되는 직면한 현실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 전문가들 “상징성은 충분...그러나 효과 검증은 최소 1년 이상 걸릴 것”장기적 관점으로 나아가야
해상 전문가들은 제주도가 개척한 이번 항로 개설이 상징적으로는 의미가 크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경제적 실효성을 논하기엔 시기상조라고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제주–칭다오 직항이 실제 수출입 경쟁력을 높일지 여부는 앞으로의 화물량과 운항 지속성에 달려 있다”라며 “현재의 홍보 방식은 행정 성과 부각에만 치우쳐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제주도가 보도자료를 통해 자평한 ‘57년 만의 개항’이라는 상징성은 충분히 인정되고 박수 받을 만 하다.
그러나 물류비 62% 절감과 운송시간 2일 단축이라는 도의 주장은 실제 검증되지 않은 예상치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와 더불어 첫 항차 물량이 40TEU 수준이라는 점에서 정기노선의 지속 가능성 역시 불투명하는 것도 부정적 견해 중 하나다.
따라서 제주항의 새로운 항로 개설은 분명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고 판단되지만, “빈 배로 떠나는 정기선보다, 채워질 산업기반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즉, 결과에 따른 성과중심보다 과정에서 나타나는 노력이 우선이라는 현장에서의 비판이 설득력을 얻고 있음을 제주도정은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