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5] “청정 우도, 행정이 외면하는 이대로는 안 된다!!”

- 청정우도 내 난개발과 관광 갈등... 해법은 무엇인가?

2025-08-22     양지훈 기자 일간제주탐사보도팀

[편집자주]

제주 우도는 ‘섬 속의 섬’이라는 매력에도 불구하고, 관광객 급증과 난개발, 환경 파괴, 주민 갈등, 행정 무능 등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일간제주 탐사보도팀은 제보를 통해 7월 한 달여간 우도 지역주민들을 만나 작금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듣고 해당 내용에 대한 취재를 전개했다.

그리고 취재과정에서 문제가 된 사안에 대해 관광분야 전문가들을 만나 대책마련을 포함한 해결과제에 대해 집중 논의를 진행했다.

이에 일간제주에서 마련한 기획시리즈는 우도의 현실을 ①불법 관광 실태 ②환경·생태 위기 ③주민 삶과 갈등 ④우도면 행정의 무능 ⑤정책 대안과 도민 여론으로 나누어 집중 조명해 나간다.

이뿐만 아니라 전문가와 지역주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 제기에서 정책 대안까지 제시해 나간다.

 

▲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을 근거로 인공지능(AI)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파일입니다ⓒ일간제주
▲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을 근거로 인공지능(AI)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파일입니다ⓒ일간제주

제주 동쪽 끝, 성산항에서 불과 15분. ‘섬 속의 섬’ 우도는 한때 청정한 바다와 하얀 산호해변으로 알려지며 연간 수십만 명이 찾는 제주 대표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관광객 급증과 무분별한 개발,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세력과 결탁(?)으로 이익을 챙기는 일부 몰양심자들로 인해 섬의 생태·주민 삶·교통 인프라가 동시에 압박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우도 입도 관광객과 주민 사이 갈등이 점점 첨예해져 가면서 우도의 미래에 대한 우려와 논란은 점차 커져만 가고 있다.

# 차량 통제 8년...‘약이냐 독이냐’논란 점차 확대

갑작스런 입도 관광객들이 증가하면서 우도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파괴에 대한 민원이 급증하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주도는 2017년부터 렌터카·전세버스·이륜차 등 외부 차량의 입도를 제한해왔다.

그 결과 각종 교통사고와 주차 혼잡은 다소 줄었지만, 호황을 맞았던 우도 지역상권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러한 상인들이 경제적 악화에 대한 민원이 급증하자 제주도가 지역주민들과 소통 없이 갑작스럽게 전기 렌터카와 16인승 전세버스 등 일부 제한을 완화하면서 논란이 재 점화됐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우도 교통난 완화라는 성과를 뒤집는 조치”라며 반발했다.

이에 관광업계와 우도지역 일부 상인들은 “관광객 접근성 제고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맞서면서 차량 통제 정책이 주민 보호와 관광 편익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형국이다.

# 청정 우도 해변을 잠식하는 난개발… ‘경관 사유화’ 우려 높아

현재 우도지역 문제는 교통만이 아니다.

우도 곳곳에는 무허가 숙박업소, 불법 증축 펜션 등이 적지 않다.

특히, 해안 경관을 가로막는 사유화 논란도 여전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우도의 해안 생태계 역시 위협받고 있는데, 관광객 발길이 집중되는 산호해변은 일부 구간이 훼손되면서 ‘백사장이 사라진다’는 경고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 “청정 우도를 지키는 해법은?...지속 가능한 관광으로의 전환이 시급”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간제주가 만난 환경전문가들이나 관광전문가들은 우도의 미래가 단순한 규제 강화나 개발 확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 지역모델’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 전문가들은 제일 먼저 차량 입도 관리 고도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현재 전기차·버스 허용 여부를 단순 완화가 아닌 예약제·시간제 운행제와 연계해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

이어 두 번째로 관광 수요 분산을 제시했다.

우도 인근 유명 관광지인 성산일출봉을 비롯해 섭지코지 등 연계한 콘텐츠를 개발해 특정 시기·공간에 집중되는 관광객을 분산하는 방법을 제기했다

세 번째로 친환경 체험 확대 방안으로 ► 해녀 체험, ►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환경 친화 캠페인 전개, ► 지역 음식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해 관광객이 환경 보호의 주체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네 번째로 주민 참여형 거버넌스 방안이다.

즉, 행정·관광업계·주민이 함께 협의하는 ‘우도 지속가능관광 협의체’를 제도화해 정책 결정 과정에 주민 목소리가 반영되는 소통창구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외에 전문가들의 추가 정책 제안으로는 ▷ 친환경 교통 적극 도입, ▷ 우도지역 환경 보존 기금 조성, ▷ 도 차원의 행정 통합 관리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제주 대표적 ‘섬속의 섬’ 우도는 제주관광을 대표하는 상징적 존재다.

그러나 장기적 정책 없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관광객을 받아들이고, 외부 세력과 연계한 일부 몰양심자들을 위한 개발이 무분별하게 이어진다면 우도의 존재 가치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게 될 수 있다.

관광객을 받지 않을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받아들일 수도 없는 우도섬.

결국 해법은 환경·주민·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새로운 관리 체계에 달려 있다.

우도는 지금, 이러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 일간제주에서는 행정의 무관심속에 지역주민들이 아닌 일부에게만 돌아가는 경제적 구조 타개(打開)와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한 청정 자연 훼손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도지역 내 문제점을 개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전문가들과 함께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우도지역 내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우도 지역 주민들은 물론 우도 방문한 분들의 다양한 제보(news@ilganjeju.com)를 기다립니다. - 일간제주 탐사보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