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진 “김광수 교육도정, 나름의 성과 인정...그러나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 남아있어”

- [일간제주TV] 허용진의 시사비평‘제주 사이다’- 2023년 7월 14일 “제7화 3부” - 양지훈 일간제주 편집국장 진행, 일간제주TV‘허용진의 시사비평 “제주 사이다”’...허용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 고정 패널로 출연

2023-07-23     양지훈 기자 / 일간제주TV

제주 대표적 인터넷신문인 '일간제주'와 유튜브 방송 '일간제주 TV'는 7월 14일 허용진 현(現)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이하 허용진 위원장)과 시사토크쇼 ‘허용진의 시사비평 “제주 사이다”’ 제7화를 1부, 2부, 3부로 나눠 촬영했다.

이번 방송은 일간제주 양지훈 편집국장이 진행하고 현장에서 직접 취재한 내용에 대해 허용진 위원장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일간제주와 일간제주TV가 협력하여 기획·제작된 시사토크프로그램인 '허용진의 “제주 사이다”는 유튜브를 비롯해 다음과 구글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 동시에 올라간다.

 

[일간제주TV] 허용진의 시사비평‘제주 사이다’- 2023년 7월 14일 “제7화 3부”

▲ ⓒ일간제주

허용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이하 허용진 위원장)은 7월 14일 일간제주 양지훈 기자가 진행하고 일간제주TV와 협력하여 기획·제작된 시사토크프로그램인 ‘허용진의 “제주 사이다”’에 출연했다.

이날 제7화 방송은 1부, 2부, 3부로 나눠 진행된 가운데 먼저 1부에서는 민선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출범 이후 제주 제2공항 등 제주현안에 대한 대응자세와 대안제시 등 1년에 대한 평가를 담았다.

이어진 2부에서는 제주 대표적 대의기관인 제주도의회 김경학 의장의 의회가 제주 집행부인 제주도 정책견제와 예산집행에 대한 심의 등 1년여 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한 내용을 짚어봤다.

그리고 마지막 3부에서는 1년여 동안의 제주교육 수장인 김광수 교육도정평가에 대한 내용과 최근 제주교육계 ‘뜨거운 감자’ 각 사안의 주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다뤘다.

▲ ⓒ일간제주

이날 방송에 앞서 허용진 위원장은 보수·중도의 표심을 얻고 탄생한 김광수 제주교육도정이 과거 진보 교육감의 정책과 인력을, 그리고 진보성향의 정치인들과의 꾸준한 인적네트워크에 대해 표심에 반하는 정치적 행위라며 정체성을 질타했다.

이어 허용진 위원장은 김광수 제주교육도정의 나름의 성과에 대해서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서귀포 학생문화원 이전에서의 김광수 교육감의 소극적 대응에 대해 강하게 비난하면서 학생들과 학부모, 더 나아가 서귀포시민들의 교육인프라를 위해 주도적 역할을 재차 당부했다.

또한, 제주교육청 최대 난제라 볼 수 있는 ‘교육청 주차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대거 참여한 ‘취임 1주년 기가회견’에서 임기 내 정책 방안 포기 선언은 무능력한 자신을 인정한 거라면서 의지가 없으면 자리에서 내려올 것을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 방송에서 허 위원장은 작심하듯 “김광수 제주교육감은 보수의 주자임을 내세워 교육감에 당선되었음에도 핵심측근들 상당수가 진보적 성향에 인사들”이라는 강하게 지적했다.

이어 허 위원장은 “진보와 보수성향의 인사를 골고루 등용함으로써 교육에서의 균형을 잡아야 할 위치에 있는 교육감으로써 적절하지 못한 인재등용”이라고 전제한 후 “그러하기 때문에 김광수 교육감에게 대하여 내부 장악력 및 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우려 섞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허 위원장은 “교육의 수장에게는 탈 이념화 또는 이념적 균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금부터라도 내부 장악으로 인한 업무추진력 향상, 교육비전 제시, 소통에 대해 적극 노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허 위원장은 “최근 언론인과의 대화과정에서 서귀포 학생문화원 이전지역 결정과정에서 소통부족을 지적받자 이전지역 결정은 제주도와 서귀포시에서 결정하는 것이라는 취지로 발언하셨다”며 “이러한 이전지역 결정에 대하여 교육감의 역할이 거의 없는 것인양 주장한 것은 (제주교욱 수장으로서)매우 부적절한 주장”이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 ⓒ일간제주

허 위원장은 “제주도와 서귀포시는 교육감의 학생문화원 이전 적지에 대한 판단을 존중하여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이라며 “제주도와 서귀포시가 이전지역을 결정하는 것이 아닌 것”이라며 교육수장으로서 역할에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을 재차 주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이라도 교육감은 소극적인 자세를 탈피하여, 자신이 주도적으로 이전지역을 선정해야 할 것”이라며 “이전지역의 적합성에 대하여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등과의 소통을 강화 하여 부작용 없이 학생문화원이 이전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된 김광수 교육감이 공식적 기자회견 자리에서‘제주교육청 최대 난제인 주차장 문제 공식 포기 선언’과 관련해 “취임1주년을 맞이하여 김광수 교육감은 교육청 최대현안인 교육청 주차장 문제를 해결 할 생각이 없음을 밝힌 것으로 알고 있는데, 듣는 이의 귀를 의심케 하는 발언”이라며 “주자창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당연히 찾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교육청 인근에서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고, 더 나아가 방법이 없다는 중장기적으로 교육청 이전도 고려하면서 적극적으로 문제해결 노력을 해야한다.”며 제주교육 수장으로서 어렵다고 포기하지 말고 정면으로 맞서는 자세로 나아갈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

이어 허 위원장은 작심하듯“주차장 문제 해결을 포기하는 것은 교육수장으로써 무능력을 스스로 증명하는 길이라 생각한다.”며 “해결 능력이 없으면, 그 자리에서 내려오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해결하도록 하면 될 일”이라며 “생각을 바꾸길 진심으로 충고한다.”며 이날 방송을 쓴 소리로 마무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