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국내 전기차 메카 제주, 이제 세계적 모빌리티 선도도시로 나아간다!!”

- 제주지역, 10월 말 전기차 등록 3만대 달성, 제주 전역 충전시스템 완비 - 전기차 관련 기본 인프라 시스템 완비...이제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 나아가는 길목 -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와 청정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 나간다!!

2022-12-30     양지훈 기자
▲ ⓒ일간제주

청정의 자연허파, 탄소 없는 섬 제주를 실현하기 위한 만들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 핵심정책은 2013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추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전기자동차 보급 사업을 타 지방자치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 지난 11월 말 제주도내 전기자동차 등록대수가 3만대를 넘어서는 3만2227대를 기록했다.

이러한 제주도의 전기차 인프라 확충 노력은 3만대 보급과 더불어 약 2만2000여기에 이르는 전국 최고의 충전 인프라 등 기본 인프라가 완비됐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제주도는 전기차를 넘어 미래 모빌리티 도시로 행하는 길목에 서 있게 됐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 2013년부터 새로운 이동수단으로서 전기차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전국 최초의 민간보급과 관련 산업 육성 등 인프라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먼저 첫 번째로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22년 10월 말 기준 도내 차량 대비 전기자동차의 점유율은 7.3%로 전국 평균인 1.4%를 크게 상회하는 지자체 중 압도적 1위이며, 전국 전기자동차의 약 8.5%가 제주에서 운행 중에 있다.

이에, 늘어나는 전기자동차에 대응하여 충전 편의를 높이기 위해 전국 최고 수준의 충전기 인프라가 구축되어 운영 중에 있다.

이어 두 번째로 전기차 관련 산업 육성 프로젝트로는, 도내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연관 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19년 12월 전기차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받아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인프라 고도화, 이동형 충전서비스 등 4개 과제에 대해 임시허가를 받아 현재 새로운 사업으로 키워나가고 있다.

또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19년 6월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를 준공하여 회수된 전기차배터리에 대해 성능평가ㆍ안전성 검사 후 에너지저장장치(ESS), 농형고소차 등 5개 제품을 개발하여 오는 2023년부터 민간에서 판매 및 대여할 계획이다.

그리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 잉여전력을 동력으로 전환하는 P2M, 신재생에너지로 달리는 전기차 실현을 위한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 충전기가 융복합된 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도 에너지 신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다.

▲ ⓒ일간제주

현재 제주도 저탄소정책과에서는 전기차 보급 확대 및 수요자 중심 이용문화 선도에 나서고 있다.

올해 1월부터 12월 현재까지 주요 성과내역을 살펴보면 △ 전기차 선도도시로서의 위상 정립, △ 무공해 차 전환 브랜드사업 추진, △ 전기차 긍정적 인식 확산 및 이용문화 선도 등을 들 수 있다.

상세한 내역으로 들어가 보면 ▲ 전기차 선도도시로서의 위상 정립으로 ► 총 7995대 보급으로 전기차 연간 보급 최대실적 달성 및 누적 등록대수 3만대 돌파, ► 도내 실제 운행차량의 7.87% 점유, ► ‘22년도 전기차 보급 역외세원 확충해 우수부서 선정, ► 도내 전기이륜차 점유율 10% 달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어 ▲ 무공해 차 전환 브랜드사업 추진으로 ► SK렌터카 내연차량 1,000대 전기차 전환 보급, ► 보급에 따른 도비지원금 8억7100만원 사회 환원 유도 등이 있다.

그리고 ▲ 전기차 긍정적 인식 확산 및 이용문화 선도를 통해 ► 전기차 3만대 돌파 전기차의 날 행사 개최(`22.11.29.), ► 제9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최(`22.5.3.~5.6.)등의 성과가 있다.

또한, 저탄소정책과의 부서 및 민․관 협업 추진 실적 내역을 살펴보면

협업사례

협업 기관(부서)

추진 개요

주요 성과

무공해 차 전환 브랜드 사업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

SK렌터카()

제주도내 SK 렌터카 보유 차량 전기차 전환

SK 렌터카 보유 차량 1000대 전기차 전환

전환에 따른 도비 보조금 87100만원 사회 환원

전기이륜차 특별 보급

신한카드,

제주상인연합회

제주 소상공인에게 전기이륜차 특별보급

소상공인에게 전기 이륜차 보급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 마련

전기버스

(저상버스) 보급

대중교통과

저상 전기버스 보급

- 사업비 : 56000만원(국비)

- 내용 : 대중교통 준공영제 노선버스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 전기버스 구입 지원

대중교통 노선버스를 전기버스로 우선 보급, 친환경 전기 버스 확대 및 온실가스 감축

‘22년 보급: 8

* 전기버스 보급 누적 198

공공용전기차 보급

회계과

행정시

공공용전기차 보급

- 사업비: 91100만원

- 사업량: 21

 

 

 

‘22년 공공용승용차

보급 : 21

* 2, 제주시 6, 서귀포 3

공공 승용차 중 전기차 점유율 73.8%

* 689대 중 전기차 509

 

[참고자료] 제주특별자치도 전기자동차 등록 현황(’22. 11월말)

도내 전기자동차 등록 현황

지역

대수

등록연도

대수

용도

대수

32,227

32,227

32,227

제주시

24,085

2022

7,689

자 가 용

25,555

서귀포시

8,142

2021

5,284

영업용

렌터카

4,109

구분

대수

2020

3,957

택시

1,510

초소형승용차

514

2019

3,539

버스

177

초소형화물차

47

2018

5,533

화물

399

전기화물차

6,703

~2017

6,225

관 용

477

 

- 전기자동차 주요 차종별 등록 현황

차종

승용

초소형

화물

기타

아이오닉 일렉트릭

코나

아이오닉5

니로

SM3

EV6

트위지

쎄보

포터

봉고

대수

4,807

4,694

3,177

2,363

2,187

1,550

184

153

4,190

2,346

6,576

기타 차종 : 전기버스 등 45

도내 자동차 및 전기차 등록 대수(실제 도내 운행차량 기준)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11

차량

338,719

351,506

370,262

383,659

387,632

394,649

402,703

409,523

전기차

2,369

5,629

9,206

15,549

18,178

21,285

25,571

32,227

비율

0.70%

1.60%

2.49%

4.05%

4.69%

5.39%

6.35%

7.87%

전기차 등록 ‘1144, ‘12178, ‘13302, ‘14674

자동차 등록 689,278(역외리스 279,755대 포함)

’22.10.17. 전기차 30,000대 달성

시도별 전기차 등록 대수 및 점유율(22. 11월말)

구분

경기

서울

제주

인천

대구

부산

기타

(11개 시·)

전기차

75,811

57,351

32,227

25,835

24,131

21,916

144,454

381,725

차량

6,363,121

3,192,112

409,523

1,693,367

1,229,448

1,497,992

11,075,798

25,461,361

차량 대비

전기차 비중

1.19%

1.80%

7.87%

1.53%

1.96%

1.46%

1.30%

1.50%

전국

전기차 대비

전기차 비중

19.86%

15.02%

8.44%

6.77%

6.32%

5.74%

37.84%

100%

※ 전국통계는 자료집계 특성상 전월 자료는 익월 중순에 확인 가능

* 연도별 제주 전기차 점유율 : ’13년 20.6%, ’14년 24.2%, ’15년 41.4%, ’16년 51.8%, ’17년 36.6%, ’18년 27.8%, ’19년 20.2%, ’20년 15.8%, ’21년 11.1%

다음은 전기차와 풍력 등 제주 청정사업 부분 총괄하고 있는 제주도 미래전략국 고윤성 저탄소정책과장과의 인터뷰 내역이다.(이번 인터뷰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인터뷰 대신 서면으로 진행함)

▲ ⓒ일간제주

# 11월 말 제주 전기차 3만대 돌파를 기념하는 전기차의 날 행사를 진행한 것으로 아는데, 2022년 말 지금까지 제주도가 추진한 전기차 보급 정책의 결과를 설명해 주신다면?

제주도는 `13년 전국 최초의 전기자동차 민간보급을 시작으로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을 목표로 2022년 현재까지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 2015년부터 현재까지 3차에 이르는 전기자동차 보급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계획에 따라 관련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20년에 수립된 3차 계획은 지속가능한 전기자동차 보급과 전기차 관련 산업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두어 수립했다.

이런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지난 10월 말 제주도내 전기자동차 등록 대수가 3만대를 돌파하였고, 11월 말 현재 기준 3만2227대가 등록되어 운행 중이다.

특히, 제주가 전기차의 선도도시인 점은 비율로도 나타나는데, 전국에서 운행 중인 전체 차량 중 전기자동차의 비율은 1.5% 정도인데 반해 제주도는 11월 말 기준 7.87%를 달성하여 2022년 말에는 8% 돌파가 예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3만대 달성의 또 다른 의미는 환경과 비용적 측면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데 전기차 3만대 운행 시 연간 온실가스 6만톤 감축, 사회적 비용 488억원 절감 등 제주의 환경과 제주 도민에게 돌아가는 각종 편익도 상당하고다 분석되고 있다.

그리고 전기차 보급과 함께 제주 전역에 전기차 충전기 2만2068기도 설치되어 운영 중으로 보급과 인프라 구축 모두 전국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응 상태다.

이 자리를 빌어 지난 10년간의 전기차 및 인프라 보급의 성과는 모두 도민의 관심과 참여 속에 이루어진 결과라 생각하며, 탄소 없는 청정한 섬 제주를 위해 함께해 주신 도민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 2022년 올 한해 제주 전기자동차 보급이 기록적인 성과를 올렸다고 하는데 올 한해 전기자동차 보급에 있어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다면?

지난 2013년 전기자동차 민간보급을 시행한 이래 연간 보급대수로는 2022년이 최고치이며, 2022년 연말까지 보급 완료시 승용 5000대, 화물 3000대 등 총 8000대 보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전기자동차 보급의 핵심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분야에 집중적으로 보급 정책을 추진한 점이라 할 수 있다.

우선 일반 승용차 대비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4배 이상인 화물 전기차와 택시 보급이 역대 최고치로 이루어졌는데, 화물차는 최초로 연간 3000대를 돌파하여 보급될 예정이며, 택시도 약 550대가 보급되어 온실가스 감축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본다.

이와 더불어 렌터카에 대한 집중 보급을 시작했다는 점으로, 올해 제주도‧ 환경부‧SK렌터카가 협업을 통해 SK렌터카 보유 차량 3000대 중 내연기관 차량 1000대를 전기 차량으로 전환했다.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전기 차량을 활용 하여 관광 공해 배출을 최소화하고, 제주에서의 생애 첫 전기차 경험을 통해 전국적으로도 전기차 전환과 보급 확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와함께 SK렌터카 1000대 보급에 소요된 도비보조금 8억7000만원도 전액 제주도로 환원되었으며, 제주의 따뜻한 겨울을 위해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되어 소중히 쓰일 예정이다.

올해의 보급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제주 환경에 도움이 되고 제주도민이 만족하는 보급 정책을 지속 발굴, 추진할 예정이다.

# 향후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친환경차 보급과 그에 따른 산업생태계 전반에 관한 정책방향을 설명해 주신다면?

제주는 전기차를 넘어 친환경차 전반에 대한 선도도시가 될 수 있도록 기존의 전기차 보급을 지속하는 한편 수소차 보급 등 미래모빌리티 분야에 대한 정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화물차와 택시, 그리고 렌터카 등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높은 전기자동차 차종에 대한 집중 보급 등의 정책은 2023년에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수소차 보급도 2023년 시작하는 등 친환경차 전반에 대한 보급이 시행될 것이다.

제주도는 이번 조직개편에서 미래 모빌리티과를 신설하여 전기자동차부터 UAM까지 친환경 모빌리티 전반에 대한 정책개발과 시행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그리고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전기자동차 개조 및 사용 후 배터리, 통합유지 보수 등 신규 산업에 대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지원함은 물론 자동차의 공간 서비스로의 확장을 의미하는 자율주행 서비스 고도화, 교통 체증의 혁신적 해결 위한 차세대 하늘 교통인 도심 항공모빌티(UAM) 도입, 우주산업 육성 등 미래 모빌리티 전반에 대한 육성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더불어 친환경 모빌리티의 확대에 따른 기존산업 피해에 대한 선제적 연구와 지원책 발굴도 적극 시행할 계획이다.

현재 제주는 이제 전기차 3만대 달성을 넘어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한 번 더 노력해야 할 때다.

제주가 전기차의 선도도시가 되는 데 도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 이었던 만큼 미래 모빌리티 확산에도 다시금 도민분들의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