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 파견된 근로자도 근무기간이 2년을 초과하면 서울시에 직접 고용된 무기계약직의 지위를 갖게 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1부(부장판사 최승욱)는 파견근로자 최모(55)씨가 서울시를 상대로 낸 근로자지위확인 등 청구 소송에서 "미지급한 임금과 퇴직금 43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재판부는 "옛 파견법의 입법 취지는 파견근로자의 상용·장기화를 방지하고 고용안정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며 "근로자 파견이 2년을 초과한 경우 사업주와 파견근로자 사이에 직접근로관계가 성립함으로 원고는 직접 고용된 무기계약직 근로자의 지위를 갖게 된다"고 판시했다.

이어 "서울시가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을 조합원으로 하는 전국공공서비스노조와 체결한 임금협약을 전체 상용직 근로자들에게 일괄 적용하고 있다"며 "따라서 원고와 직접고용관계가 성립한 날 이후부터 임금협약에 따라 계산한 차액과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씨는 2004년 8월 파견사업체에 입사한 뒤 2009년 2월까지 서울시 도로관리사업소에 파견돼 과적차량 기동단속차량 운전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2009년 3월 서울시가 최씨에게 채용 불가를 통보하자 최씨는 근무 기간 2년을 초과한 2006년 8월부터 무기계약직에 상응하는 급여를 달라며 소송을 냈다. 【서울=뉴시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