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간제주

전 세계적으로 가축분뇨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축분뇨를 퇴․액비 등으로 자원화하여 자연에 환원하는 방식인 친환경 자연순환농업에 주력하는 가운데 제주는 자연순환방식 보다는 정화처리방식에 집중해나가고 있는데 대해 제주도의회가 임시방편이라고 비판의 칼을 높이 세웠다.

제주도는 최근 기존 자연순환농업의 일환인‘집중화 처리’정책기조에서 감압증류 등 신기술을 접목한 완전‘정화 후 재이용’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 전체 가축분뇨의 70% 가량 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실장 김광섭)은 현안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시한 정책내용은 현재 액비 살포지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단기적 해결방안으로 적절할 수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자연순환농업 활성화 방향을 지켜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제주도에서는 가축분뇨 자원화율이 85%로 높은 수준이나, 제주 중산간지역의 개발 등으로 정작 자원화 된 분뇨를 소비할 이용지가 부족해 액비 집중살포 등의 문제로 반쪽짜리 자연순환농업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70%를 정화하여 세척수 등으로 재이용하고 30% 생산된 액비는 막여과 정제과정을 한 번 더 거쳐 골프장 관리용수 등으로 사용될 방침이나 이는 환경오염원 중 하나인 화학비료의 대체, 친환경 농산물 생산, 바이오에너지 생산, 농가의 생산비 절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자연순환농업의 확산․발전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발효가 덜 된 분뇨를 살포하는 등 여러 불법적인 사례들로 인해 액비가 악취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도민들의 인식이 좋지 않은 상황이나, 적정과정을 거쳐 생산된 액비는 악취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익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이에 정책연구실은 정화 후 재이용 방향으로 가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자연순환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경종농가와 연계한 액비 수요처 확대를 제안했다.

특히, 제주지역은 감귤을 비롯한 각종 과일과 밭작물을 많이 재배하는 곳으로 경종농가와 연계할 경우 액비수요가 확대되고 경종농가는 화학비료의 대체로 수질 및 토양오염 부담을 덜며 생산비 또한 절감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가축분뇨를 이용해 자동차 및 도시가스의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와 열에너지를 농가와 일반 가구에 보급하는‘바이오플랜트’단지를 축사밀집지역에 조성하여 자연순환농업을 실현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가축분뇨뿐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도 바이오가스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어 상당량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도 해결되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남는 분뇨는 퇴·액비화하여 단지 내 농가에 공급할 수 있고 이런 플랜트가 정착되어 활성화 된다면 일자리 창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정책연구실 고미정 연구원은 “제주도 지하수오염의 60%가량이 화학비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제주연구원), 가축분뇨 처리를 정화 방식으로만 집중할 경우 화학비료 사용량이 늘어 또 다른 오염원이 증가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