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호국공원이라고? 역사에 찬물을 끼얹고 있어"... 제주도의회 행자위 '가칭' 호국공원 비판에 나서

▲ ⓒ일간제주

행정자치위원회 위원들은 제주국립묘지를 '제주호국공원'이라고 격을 낮춘 것과 국가유공자를 '자연장지' 방식으로 안장하겠다는 것에 대해 지적을 쏟아냈다.

위원들은 17일 오전 10시에 열린 제362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 제4차회의 질문시간에서 '가칭'제주호국공원와 관련해 이 같이 말했다.

좌남수 의원을 비롯한 모든 위원들이 '가칭'제주호국공원이라는 명칭에 대해 말을 내놓았다.

홍명환 의원은 “2009년부터 논의 진행돼 왔지만 아직 뚜렷한 게 없고 백지상태이다”라며 “7종류의 국립묘지가 있는데 제주지역은 섬이라는 특수성 있어서 7종류 모든 분야의 묘를 종합하는 국립묘지를 만들자는 취지인 것이 맞느냐, 국립호국원은 안장대상이 군인, 경찰에 한정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충원같은 경우 공무원, 소방대원 등 범위가 14종류이다”라며 “(제주국립묘지)는 제주도민이면 언제나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는 공원이어야 하는데 호국공원이라 이름 붙이는 거는 지금의 역사를 완전히 찬물을 끼얹는 것이고 이에 화가 난다. 이게 정신이 있는 사람들이냐”고 일갈했다.

강철남 의원 또한 “제주국립묘지 협약소가 체결됏는데 왜 호국공원이라 해서 상당히 혼란스럽게 하는지, 검토 너무 미약하다”고 말했고, 김황국 의원은 “호국공원 자체가 말 그대로 추모공원인데 국립묘지로 연관시킬 수 있느냐”며 “나중에 2021년에 호국공원이 국립묘지로 편입되기 때문에 가칭으로 호국공원이라 둔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차장은 “제주국립묘지 조성사업이 진입로 처음에는 포함 안 시켜, 제주호국공원이라 명칭 사용할 때는 진입로 부지 포함해서 말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보국과장도 “‘결과적으론 국립묘지이다. '호국공원’ 명칭 사용 계기는 국립 권역 축소되다 보니 국가보훈처와 협의해 잠정적으로 호국공원으로 하는 게 좋지 않겠냐”며 “의원님들의 많은 지적 있고 호국공원 개념보다 제주국립묘지 개념으로 가는게 맞겠다. 국가보훈처와 협의 통해 명칭 관계 정확히 정립하겠다”고 해명했다.

좌남수 의원은 “봉안당 들어가는 거 어떤 분들 들어가느냐” 물었고 이에 “결정된 게 없다”고 하자 좌 의원은 “왜 국가유공자를 봉안당으로 하느냐”며 “제주의 특수성 알려 지사한테 얘기해 도비 부담해서라도 자연장으로 하겠다 얘기해야지, 국가유공자들 아니냐. 영구히 갈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후손의 도리로서 비석 하나 세워야 되지 않겠느냐”고 외쳤다.

또한 현길호 의원은 정확하지 않은 전수조사에 관해서도 지적했다. “지금 충혼묘지에서 국립묘지로 올 분이 40%, 하늘공원에서 국립묘지로 올 분 50%이며 625참전유공장에서 오실 분이 60% 계시는데 이 예측은 수요조사를 한 것이냐”는 질문에 과장은 “2014년 500명을 대상으로 국립묘지 조성사업 때문에 국가유공자 유족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했다”고 답했다.

그는 “이 정도 조직, 단체 파악이 다 되어있어서 이 정도 규모 사업이면 정확한 파악도 되지 않느냐”며 “지금 관리 안 되고 있느냐 발송해서 의견 물어보는 게 뭐 어렵다고 수요조사를 뭐 여론조사로 하느냐. 이 사업은 벌어져나갈 일이 아니라 어느 정도 되면 정해질 일들이고, 정확히 예측하면 규모도 정확히 나올 텐데 이런 부분은 세밀하게 살펴봤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김황국 위원은 “이 기회에 전수조사를 다시 한 번 했으면 좋겠다”며 “돌아가신 분까지 12727명 자료를 어떻게 뽑을 것이냐. 저의 아버지도 6.24 참전용사이시지만 아버님과 관련해서 연락 받아본 적이 없다. 그런 사실 관계 조회해서 유족에게 연락해보는 방안도 있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의원들은 제주 국립묘지에 4.3 묘역과 관련해 얘기를 꺼냈다.

홍명환 휘원은 “4.3유해발굴 어떻게 처리하고 있냐”고 물었고 이에 아무 말도 대답을 못 하자 그는 “4.3유해발굴 하면 어디에 모실 거냐, 대통령 사과도 2번이나 받았고 정부 차원에서 조치하고 유해발굴도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 했으나 유해 발굴 이후의 대안에 대해선 안 이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는 “배보상, 트라우마센타 다 좋은데 사람 도리로서 묘를 조성하는 게 기본 도리이다. 제주 43희생자에 대한 뭐가 있냐 대안들을 만들어야지”라며 “제주지역사회에서 43희생자에 대한 묘에 관련된 애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목소리를 외쳤다.

강철남 위원도 “우리도 중앙 아니라도 좋다. 아주 적게라도 4.3묘역을 일부 조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래야 화합하고 상생할 수 있다"며 “제주 지역의 아픔이니까 양지 바른 곳에라도 조성하는 고민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달라. 중요하게 여겨달라는 게 아니라 같이 가자는 것”

한편, 의원들은 안장방식 중 하나인 ‘자연장지'에 대해서도 격하게 반응했다.

김황국 의원은 “(가칭)호국공원 여기에 매장시설이 들어가냐”고 묻자 관계자는 “자연장지 5000기 예상하고 있다. 국립묘지 추세가 처음 조성되는 사업이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국립호국공원 이 아래 자연장지밖에 없다. 자연장지 때문에 호국공원이라 하는 것이냐. 국립묘지조성사업하고 호국공원 엄연히 구분된 시설 같다”며 “이거는 유골 갖다 뿌리는 공원밖에 안되는 거 같다. 자연장지 개념은 아느냐”고 묻자 차장은 “산이나 나무에 유골을 뿌리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에 김 위원은 “국립묘지 그런 사례 있느냐, 제주도가 지금 그게 가능하다 하면 도민 이해하겠냐”며 “국립묘지라 하면 봉안묘와 봉안당 이 개념인데 국가에 헌신한 사람 유골 갖다 뿌리는 이 발상 자체가 접근 가능하다 보냐.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사업비 15억에서 차라리 자연장지 조성할 거면 부지만 확보하면 되지 않느냐”며 “나무심고 부대시설 하기 위해 15억 잡힌 거 닮은데 오히려 봉안묘 할 수 있도록 예산 노력해야지, 국가 위해 헌신한 분들이 자연장지로 간다 하면 누가 가겠냐. 이 부분 반드시 도에서 관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제주도민 바라는 게 묘이다. 15000기 자연묘로 원칙대로 가야 된다”고 역설했다.

좌남수 의원도 "국비 수십억을 들여서 자연장지가 말이 되드냐"고 비판했다.

강성균 위원장 또한 “묘지 안장 수를 정해놓고 간다? 뭐에 5천기 뭐에 2천기 그게 되느냐”며 “예를 들어 봉안묘 지역에 5천기 결정하고 가면 5000기가 찼을 때 나는 봉안묘로 가겠다 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 ‘봉안묘 5천기 찼으니까 자연장지로 가서 뿌리세요‘ 이것이 말이 되느냐. 이게 가신 분들에 대한 예우가 맞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