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보전·복원 대책으로는 한라산 구상 나무의 멸종 막을 수 없어

 
한라산 구상나무가 급속히 사라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은 너무도 지지부진해 멸종 위기를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우남 국회 농해수위 위원장은 14일, 산림청 국정감사를 통해 구상나무 보전 및 복원대책에 대한 정부의 안이함을 집중 질타했다.

구상나무는 한라산, 가야산, 지리산, 덕유산 등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수종으로 전체 구상나무 숲 면적 1,200㏊ 가운데 800㏊가 한라산에 분포하고 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기후변화에 의한 적설량 감소, 한건풍(寒乾風)에 의한 동계 건조현상, 강력한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해 고사 현상이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산림청이 한라산 영실지역의 구상나무림 영구 조사지역을 모니터링 결과, 최근 15년간 고사한 구상나무는 31.6%(994본중 314본)에 달했으며, 이 중 최근 5년(’09년 → ’14년) 동안에만 15.4%(804본중 124본) 의 구상나무가 고사한 것으로 조사되어 진행속도가 지속적으로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도 피해 극심 지역을 조사한 결과 최근 15년간 고사율이 45.9%를 기록한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 기상이변 등 구상나무의 고사원인이 다양해지고 이에 따른 피해도 심화되며, 보전 대책이 없이 쇠퇴가 계속 진행된다면 향후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멸종직전종’으로 지정될 우려가 크다"고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IUCN은 지난 2011년에 구상나무를 ‘멸종우려종’ 단계로 인식하고 있다.

산림청은 김 위원장의 지난 2013년 국정감사 시정 요구 등에 따라 2014년부터 구상나무 보존원 조성, 5개 부처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한라산 구상나무 보전 실무위원회 구성 등의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으로는 현재 급속히 쇠퇴하고 있는 구상나무를 보전·복원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지적이다.

우선 자생지 내 복원 등을 위해 구상나무를 증식하는 인공 숲인 구상나무 보존원이 조성됐지만 그 면적이 1ha에 불과해 대규모 복원에 대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구상나무 보존원의 뒤 늦은 조성과 한계 등으로 인해 자생지 내 복원 조림은 시작조차 되지 않았고, 국가의 체계적 보전과 지원을 위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도 여전히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김우남 위원장은 "구상나무는 세계자연유산 제주를 대표하는 나무이자 한국 특산종으로 학술·경관·자연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이에 대한 보전·복원은 당연히 국가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전수조사의 주기적 실시, 구상나무 보존원의 대폭적 확대, 복원 조림의 신속한 착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조속한 지정 등 구상나무 보전·복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즉각 수립·실행할 것"을 국정 감사를 통해 주문했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