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자 지음

제주도방언은 제주 사람들이 전래적으로 써온 말로, 그들의 삶과 정신과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언어문화유산이다. 제주도방언의 유다름은 제주도의 독특한 인문 자연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제주도방언의 음운 체계와 문법 체계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수많은 어휘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제주도방언의 어휘를 도서지역어(島嶼地域語)라는 자연환경적 측면과, 문화와 민속이라는 인문환경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연구하고 그 용어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제주도방언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현장에서 직접 캐낸 어휘자료와 제보자들의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정리했다.

이 책은 제1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바다’, 제2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문화’, 제3부 ‘제주학 정립을 위한 용어 몇 가지’ 등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는 <제주바다의 소라ㆍ고둥ㆍ전복 이름>,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등 제주바다와 관련한 논문 4편이 수록되었다. 제2부에는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제주의 떡 이름>, <제주도 ‘구덕’과 ‘차롱’ 이름>, <제주도방언의 김치 명칭과 특징 연구> 등 제주문화와 관련한 4편의 글이 실려 있다. 제3부에는 석사학위논문 가운데 다양하게 불리는 용어 정립이 필요한 ‘지명’과 ‘구비전승’, ‘관념어’ 관련 자료를 뽑아 엮었다. ‘지명’은 ‘한라산, 영실, 천지연, 선흘곶’에 대해 다루었고, ‘구비전승’은 ‘선문대할망, 이여도, 잠녀’, 관념어는 ‘서귀포칠십리, 여다(女多), 육지, 중산간’을 대상으로 고찰한 것이다.

특히 제주도방언을 공부하는 사람들, 그리고 제주의 언어문화유산을 보전하는 데 애쓰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일간제주의 모든 기사에 대해 반론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됩니다.
반론할 내용이 있으시면 news@ilganjeju.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비리와 사건사고, 그리고 각종 생활 속 미담 등 알릴수 있는 내용도 보내주시면
소중한 정보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일간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